계룡산 동학사 산책 및 회식
10월 21일 금요일, 학교 추계 체육행사에 맞춰 연구실 인원들이 짧게나마 휴식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자작바위 음식점에서 닭볶음탕도 맛있게 먹고 나서, 계룡산 동학사 근처에서 산책도 하며 에너지를 충전했습니다!
ICIP2022 참석

10월 16-19일 기간 동안, 우재군은 프랑스에서 열리는 ICIP2022 학회에 참석하였습니다. 우재 군은 학회에서 Diverse Generative Perturbations on Attention Space for Transferable Adversarial Attacks 논문을 oral presentation 하였습니다. 우재 군은 학회에 혼자 참석하여, 아쉽게도 우재 군의 발표 모습을 카메라에 담지 못해, keynote 연설 사진을 대신해서 올립니다.
유림공원 산책 및 회식
10월 14일 금요일, 연구실 인원 모두가 함께 학교 앞 유림공원을 산책하였습니다. 작년 이맘때도 유림공원에 산책 갔을 때는 비가 왔었는데, 이날은 날씨가 화창해 산책하기 좋았습니다. 꽃들과 다양한 전시 작품들을 구경하고 나서, 어은스시 음식점에서 함께 식사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졸업생과의 만남
오래간만에 연구실 학생들과 함께 졸업생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재필군, 정환군, 수민양, 용선군, 창호군, 규연군 모두 반가운 얼굴들입니다. 다들 연구실에서 잘하던 것처럼, 졸업하고 사회에서도 맡은 일들을 잘 해내고 있어 뿌듯합니다. 앞으로도 종종 얼굴을 보면 좋겠습니다.
(주)루닛 코스닥 상장
2022년 봄학기 우수조교 선발
KCC2022 Tutorial

2022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KCC2022)에서 우리 연구실이 대용량 및 고정확 이미지 검색 기술에 관한 튜토리얼을 진행하였습니다.
윤성의 교수님과 함께 박사과정 김재윤, 조윤기, Guoyuan An 군이 최근 이미지 특징 추출 기술, 매니폴드 기반 검색 기술, 사람 재인식 기술 등을 소개하였습니다.
많은 참가자들이 참여하여 열띤 분위기 속에서 튜토리얼 3시간이 금방 지나갔습니다!
KCC2022 학회 참가

한국정보과학회에서 주최하는 2022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KCC2022)에 참여하였습니다.
2년만에 연구실 전원이 함께 학회에 가보네요.
오랜만에 학회에 참석하여 다들 즐거운 마음으로 다녀왔고, 다양한 연구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미국 연구원들 방문
미국의 연구원들이 연구실로 방문하여, 연구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들을 소개 및 시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CS580 컴퓨터 그래픽스 종강

오늘 컴퓨터 그래픽스 (CS580) 최종 프로젝트 발표를 끝으로 종강을 했습니다.
코로나 이후로 2년만에 처음으로 대면 강의를 진행하였고, 아무 탈 없이 잘 마무리 하였습니다.
오랜만에 서로 얼굴을 보면서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의 수준 높은 프로젝트 발표를 직접 들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Seminar from Prof. Beomjoon Kim
Prof. Beomjoon Kim (김범준), an assistant professor in Graduate School of AI at KAIST, visited our lab and gave a talk on his recent research.
He introduced several works to incorporate motion plan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in a robot manipulator.

Selected for Outstanding Navigation Award Finalist at ICRA2022

Our published paper (Hyeongyeol Ryu, Minsung Yoon, Daehyung Park, and Sung-Eui Yoon) was selected for the Outstanding Navigation Award Finalist at ICRA 2022.
Of the 1,500 published papers, only about 40 are selected for the finalists from various research categories.
For safe navigation, the paper proposed a confidence-based navigation method that tackles prolonged occlusions on navigation sensors due to dust, smudges, soils, etc.
The details of this project are below.
계룡산 산책
코로나가 잦아들면서, 정말 오랜만에 다 같이 계룡산으로 산책을 갔습니다.
따뜻하고 맑은 날씨 속에서 함께 숲을 거닐고, 수통골에서 맛있는 점심 식사도 하며 좋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그룹 활동을 하지 못했었는데, 앞으론 코로나가 완전히 끝나 예전처럼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지길 기대합니다.

윤성의 교수님 ZDNet Korea 인터뷰
윤성의 교수님께서 로봇 소셜 인터랙션이란 키워드로 ZDNet Korea와 인터뷰를 진행하셨습니다.
아래는 해당 기사입니다.
“AI로 사람 감정 읽는 서비스로봇 만든다”
■ 사람 행동 파악해 도움 주는 서비스로봇

‘로봇 소셜 인터랙션 기술’은 카이스트 윤성의 교수와 조성호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했다. 해당 기술은 로봇에 달린 카메라를 통해 사람의 행동을 파악하고 도움을 주는 게 핵심이다. 기존 로봇들이 정해진 업무를 수행하는 데 그쳤다면 더 다양한 상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윤 교수는 “로봇은 처음에는 신기하지만 사용하면 할수록 단조롭다는 단점을 발견하게 된다”며 “KT와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대처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로봇 소셜 인터랙션 기술이 적용된 로봇은 사람의 행동을 예측해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윤 교수는 이를 요리 로봇의 예를 들어 설명했다. 그는 “요리할 때 기존 로봇은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요리를 진행할 때만 도와줄 수 있었다”며 “소셜 인터랙션 기술이 적용되면 요리 순서를 바꾼다고 해도 도와줄 수 있다”고 말했다. 조성호 교수는 모든 서비스로봇에 로봇 소셜 인터랙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당 기술은 사람에게 서비스하는 모든 로봇에 적용될 수 있다”며 “일단 현재는 일반적인 상황에 맞춰 로봇을 개발하는 것이고 구체적인 적용 사례가 생기면 거기에 맞게 최적화하는 과정을 거쳐서 제품으로 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두 교수가 로봇 소셜 인터랙션 기술의 최종단계로 생각하는 건 사람의 감정도 인식할 수 있는 로봇이다. 윤 교수는 “현재 기술은 사람의 행동을 인식하도록 해 로봇의 행동을 늘린 것이다.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면 사람의 감정 상태를 보고 감정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서비스로봇을 만들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Prof. Sung-Eui Yoon Seminar
Our professor Sung-Eui Yoon gave an online talk at HKUST(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talk title is Intelligent Graphics, Vision and Robotics Techniques.
In this talk, he introduced various recent techniques related to graphics, computer vision, and robotics fields such as sound source localization, single image reflection removal, and denoising techniques for rendering.
현대로보틱스 산학과제 마무리

2년 동안 현대로봇틱스와 진행한 산학과제를 잘 마무리 하였습니다.
우리가 개발한 기술을 실제 로봇에도 적용을 하였습니다. 많이 활용되기를 희망합니다.